노년기의 발달적 특성과 자아정체감 유형에 대해
노년기의 발달적 특성과 자아정체감 유형에 대하여.hwp
노년기는 인간의 발달 단계 중 마지막 단계로, 생리적, 심리적, 사회적 변화가 많이 일어나는 시기이다. 노년기의 발달적 특성은 다음과 같다.
- 생리적 특성: 노화로 인해 신체 기능이 점차 약화되고, 질병에 취약해진다. 또한 감각 기관의 기능도 저하되어 시력, 청력, 후각, 미각 등이 둔화된다. 이러한 생리적 변화는 노인의 일상생활에 영향을 미치고, 자신감과 자존감을 감소시킬 수 있다.
- 심리적 특성: 노년기는 삶의 회고와 평가를 하는 시기로, 자신의 삶에 대해 만족하거나 불만족하거나 하는 감정이 들 수 있다. 또한 인지능력과 기억력이 저하되어 학습과 문제해결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그러나 노인은 자신의 경험과 지혜를 바탕으로 새로운 지식을 습득하거나 창의적인 활동을 할 수도 있다. 또한 정서적으로 안정되고, 감정 조절 능력이 향상된다.
- 사회적 특성: 노년기는 직업과 가족에서의 역할이 변화하거나 감소하는 시기로, 사회적 지위와 권력이 낮아질 수 있다. 또한 배우자나 친구 등의 사망으로 인해 외로움과 슬픔을 겪을 수 있다. 그러나 노인은 취미나 자원봉사 등의 활동을 통해 사회와 연결되고, 가족이나 친구 등의 지지를 받을 수도 있다.
노년기의 자아정체감은 자신의 삶에 대한 평가와 관련이 있다. 에릭슨은 노년기의 발달 과제를 삶의 의미와 정합성(integrity)과 절망(despair)으로 나누었다. 삶의 의미와 정합성은 자신의 삶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자신의 가치와 목표를 인정받는 것이다. 절망은 자신의 삶에 대해 부정적으로 평가하고, 자신의 가치와 목표를 실패했다고 생각하는 것이다. 에릭슨은 이러한 자아정체감 유형에 따라 노인들의 정서와 행동이 달라진다고 주장했다.